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를 조금만 바꿔도 피로가 크게 줄어든다. 바르게 서고 앉지 않으면 근육은 불균형한 몸을 균형 있게 만들기 위해 과도한 에너지를 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세가 구부정하면 뒷목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서 두통을 비롯한 피로함이 느껴진다. 또한 척추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몸을 숙이면 앞부분이 찌그러지고 뒷부분이 부푸는 모양으로 변했다가 몸을 펴면 원상태로 돌아온다. 하지만 잘못된 자세로 디스크가 찌그러진 채 오래 있으면 역시 몸에 피로가 쌓이고 디스크 탄성이 떨어지면서 허리 통증 등이 발생한다. 만성피로가 지속될 때 내과적 질환 등 특별한 피로 원인을 찾지 못하면 평소 서고 앉는 자세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서 있을 때 몸 좌우로 흔들기 서 있을 때는 한쪽 다리에 무게 중심을 두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사람들은 대개 무의식중에 오른쪽 다리에 무게 중심을 둔다. 횡격막(가슴과 배를 나누는 근육으로 된 막) 구조가 좌우 비대칭이기 때문에 좀 더 크고 두꺼운 오른쪽 횡격막에 몸을 의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오른쪽 다리에 부담이 가중되면서 전신에 피로가 쌓인다. 자신도 모르게 오른 다리에 무게 두는 것을 막으려면 서 있을 때 몸을 가볍게 좌우로 흔드는 게 좋다. 허리에 손을 얹고 좌우로 흔드는 것도 좋다. 가볍게 흔들면 특정 부위에 쏠린 체중이 천천히 분산된다. 아주 조금씩 흔들어도 상관없다.
◇앉았을 때 귀·어깨 일직선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는 우선 피한다. '반대쪽 다리도 꼬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른쪽, 왼쪽을 번갈아 꼬는 행위를 반복할수록 몸의 균형이 더 무너진다. 이와 관련 허리가 굽은 자세가 좋지 않다는 생각에 허리를 지나치게 뒤로 젖히는 행위도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한다. 앉은 자세에서 몸의 피로를 최대한 예방하려면 귀와 어깨를 이어보았을 때 때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다리가 접힌 각도를 90도로 유지한다. 양쪽 어깨를 등 가운데로 모으듯이 벌리고, 턱은 똑바로 든다. 이 자세는 어깨 결림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단, 아무리 좋은 앉은 자세라도 오랜 시간 지속되면 근육·인대 등에 무리를 줘 최소 한 시간에 한 번은 일어서는 게 좋다.뉴스 인터넷판에 따르면 미국 신시내티 아동병원의 존 허튼 박사 연구팀이 3~5세 아이들 47명(남아 20명, 여아 27명)의 뇌 MRI 영상, 인지기능 테스트, 스크린 노출 시간에 관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보도에 따르면 뇌 MRI 영상 분석에서 스크린 노출 시간이 많은 아이일수록 읽기, 쓰기 등의 언어 능력과 정신 조절, 자기 조절 기능이 발달하는 부분인 뇌 백질(white matter)의 발달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테스트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테스트 결과, 스크린 노출 시간이 많은 아이는 물건의 이름을 빨리 대는 정신처리속도와 읽기·쓰기 능력(literacy skill)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미국 소아과학회는 생후 18개월 이전의 아이에게는 스크린 노출을 절대 피해야 하고, 생후 18~24개월에는 양질의 프로그램만 보게 하되 반드시 부모가 함께 볼 것이며, 2~5세에는 스크린 노출 시간을 하루 1시간으로 제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